top of page

Abschwächung

  Hamburg-Wandsbeck의 Christus 개신교회에 1967년 E.F. Walcker 제작사는 약화된 바람압력으로 Subbass 16’를 연주하게 만드는 Abschwächung 16‘이름의 음색을 오르간에 제작하였다. 이러한 약화된 바람압력은 대략 1890년 이래 남부독일의 제작사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대부분 단순 Sanftbass  라는 이름하에 제작되었다. (바람약화의 기술적인 실현은 Zartbass를 참조)

Accord Accordo

Accordion

  Accordion 8‘는 1852 - 56년 Johann Müller에 의해 제작된 Mönchengladbach- Giesenkirchen의 St. Gereon의 오르간에서 발견된다. 아마도 이 음색은 울림통이 없는 관통식떨판(리드)에 의해 소리를 내는 Accordion을 모방하였다.

Accordo, Accord

  1770-74년 Franz Xaver Chrismann에 의해 제작된 St. Florian의 주오르(Hauptorgel)에 Accodo 혹은 Accord라는 이름의 Mixturen이 배치되었다.

Acoustic Bass Basse acoustique

Acuta

  이 음색명칭은 라틴어 Miscella acuta(날카로운 합성)로부터 형성되었다. 1698년 Andreas Werckmeister에 의해 처음으로 만나게되는 이 명칭은 그에 의해 Mixtur와 같은 라틴어로 설명되어졌다. Jacob Adlung과 이후의 음색이름목록의 저자들은 Acuta의 개념을 확실히 Mixtur의 의미로 이끌었다. 19세기 후반기에 이르러 처음으로 Acuta는 Scharf와 같은 의미로 되었다. 오르간제작현실에서는 1792-96년 Daniel List에 의해 제작된 St. Florian/Linz의 교회의 Chor오르간에 처음으로 배치하였다. 19세기에 Habsburger제국에 현저하게 이 음색이 배치되었다.

 1870년부터 이 음색은 미국에서 조합음색으로 높고 날카로운 음색으로 사용되어졌다. 독일에서 Acuta라는 이름을 오르간복고운동이 진행 중일 때 사용되어졌다.

 

Additionalbass

  Additionalbass 8‘라는 음색은 1890년 Andreas Müller에 의해 Kottmarsdorf/Sachsen의 오르간 Pedal에 있었다. 이 음색은 Prinzipalbass 8’옆에 있었다. 제작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음색이름은 나중에 추가되는 음색이라는 뜻에서 온듯하다.

 

Aeolika

  이 음색이름은 1920년 파이프제작사 Giesecke의 카다로그에 처음으로 언급되고 기술되었다. 이후 이 음색은 Klarinet음색과 같은 종류로 8‘음역의 타격식떨판의 음색으로 매우 좁은 원통형 울림통의 리드음색으로 취급되었다. 8’음역의 C의 파이프울림통은 겨우 25 mm의 폭과 4‘의 길이로 매우 약한 소리강도로 울린다. 이 음색은 원래 Rohrharmonika로 불리었다. Aeolika라는 이름은 아마 부드러운 음색의 Aoeline와 리드음색인 Harmonika의 합성어 인듯하다.

 

 

Aeoline

1. 떨판형파이프 음색

  Aeoline라는 이름은 1810년 독일의 Könighofen의 Bernhard Eschenbach가 발명한 관통식떨판의 건반악기에서 왔다. 이 건반악기는 Harmonium과 비슷하였다. 이 새로운 악기를 교회오르간에 1820년 오르간제작자 Johann Caspar Schlimbach가 실현하였다. 이 음색이 오르간에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어짐과 동시에 이 음색과 같이 울림통이 없고 관통식떨판의 음색이 Clavaeoline 혹은 Physharmonica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다. 이 음색은 8‘와 16’음역으로 배치된다. 이 음색은 그 원형인 관통식떨판의 건반악기와 같이 울림통이 없거나 교회의 넓은 공간으로 소리가 잘 전달 되도록 매우 짧은 울림통을 갖는 파이프로 만들었다.

 

2. 원통형 입술형파이프 음색

  독일의 오르간제작가 E. F. Walcker는 1852년 Frankfurt의 Katharinen교회를 위한 견적서에 최초로 입술형파이프 Aeoline를 언급한 후 이 음색을 여러 오르간에 배치하였다. 1860-1870년대 이 입술형음색은 독일의 다른 제작자들에 의해 점차 관심을 갖게되었다. 반면 떨판형파이프 Aeoline는 점차 포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떨판형파이프와 입술형파이프의 교회내의 미세한 온도변화에 따른 조율상의 차이 때문이었다.1890년 이래 이 음색은 독일과 그 주변국에 유행하는 음색이 되었다. Walcker사의 영향으로 북아메리카지역에도 이 음색이 빈번히 제작되었다. 반면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영국에서는 드물게 사용하였다. 오르간복고운동으로 이 음색은 거절되어 1900년대 새로운 오르간제작에 이 음색은 거의 사라져 오늘날 매우 드물게 오르간에 배치된다. 이 음색은 대부분 8‘음역에 배치하며 매우 좁은폭으로 제작하여 속삭이는 듯한 매우 빈약한 스트링소리를 낸다.

 

Akustikbass, Akustischer 32’ Basse acoustique

 

Aliquot, Aliquote

  Aliquot라는 의미는 “몇몇의”라는 뜻의 aliquot에서 왔다. 수학에서 Aliquot는 어느 숫자가 다른 숫자에서 나머지 없이 여러 번 나누어지는 숫자이다. 예를 들어 2는 6의 Aliquot이다. 음향학에서 이 개념은 기본주파수의 파장 내에 부분음들의 파장은 나머지 없이 여러 번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번역되어진다. 그럼으로 어느 음의 높은 부분음들은 Aliquotton으로 표기되어진다. 그리고 오르간제작에서는 오늘날 높은 음들을 강하게 하는 음색들을 Aliquot- register 아니면 Aliquote라고 명명한다.

  Aliquot 1-3f 8’라는 음색이 1927년 독일의 Walcker사에 의해 Frankfurt의 극장오르간에 배치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Aliquot음색은 많은 지역에 제작되었다. 이 음색은 2, 3, 혹은 4열로 이루어졌으며 3도, 5도, 7도, 9도, 11도 음정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예를 들어 2열은 1 1/3‘ + 1 1/7’, 3열은 1 1/3‘ + 1 1/7’ + 8/9’음역으로 구성하였다. Pedal에 배치하는 Aliquote는 Bassaliquote라고 명명하였다. 오르간 복고운동의 진행 후 1970년대에 이르러 역사적인(고전적인)오르간제작은 점차 사라지게 되고 1980년대 들어 하나의 열로 이루어진 Septime(7도), None(9도), Undezime(11도) 등의 음색은 새 오르간에서 점차 사라지게 된다.

 

 

Alphorn, Cor des Alpes

입술형 Alphorn

  이 음색이름은 원래 독일어 개념의 Gemshorn의 프랑스어의 동의어이다. 1846-48년 프랑스 엘자스지방의 오르간제작사 Joseph Stiehr & Xaver Mockers가 제작한 Hoerdit 교회의 오르간에 두 개의 이름 Gemshorn und Cor des Alpes을 음색이름으로 표기하였다.

 

떨판형 Alphorn

  Carl Elis는 1929년 떨판형파이프음색 Alphorn을 영어 표현의 French Horn 과 동일한 음색으로 언급하였다. 2차 세계대전 후 이 음색은 매우 드문 경우에만 발견된다. Paul Smets는 Alphorn을 깔대기모양의 떨판형파이프음색으로 막힌식 울림통과 울림통의 측면에 갈라진 틈을 통하여 소리의 출구를 가진 음색으로 기술하였다.

 

 

Bassaliquote, Aliquotbass

 Aliquote의 Pedal 버전을 Bassaliquote라고 한다. 이 음색은 1950-1960년대 오르간에서 발견된다. Manual에 배치하는 8‘음역의 Aliquote는 8’의 부분음들을 강하게 하는 반면 Bassaliquote는 전형적으로 16‘음역의 부분음들을 내는 파이프들을 나타낸다. Bassaliquote 3f는 Berlin음대에 설치한 Karl Schuke오르간에 있고 5 1/3’ + 3 1/5‘ + 2 2/7’열로 구성되었다. 보통 4열( 5 1/3’ + 3 1/5‘ + 2 2/3’ + 2 2/7‘) 및 5열( 5 1/3’ + 3 1/5‘ + 2 2/3’ + 2 2/7 + 1 7/9‘)로 구성한다.

 

 

Baarpfeife. Barpyp, Baarpipe, Baipipe, Bärpfeife

1. 떨판형파이프 음색

  오르간음색으로 Barpyp 6’(F를 기준으로 한 음역표기)는 1539년 Amsterdam의 Qude Kerk 주오르간을 위해 계약서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이 음색은 떨판형파이프 음색인 Schalmey와 Regal과 함께 분류된 것을 보면 분명 떨판형파이프 음색이었다. 이후 1500년대 중반부터 1600년대에 걸쳐 이 음색은 Barpipe 6’, Baerpfiff 6’, Baarpfeife 8’, Baarpipe 8’의 표기로 드물게 제작되었다. 18세기 초 이 음색은 독일의 새 오르간제작에서 더 이상 배치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1925년 오르간복고운동으로 Bärpfeife 는 다시 선호하게 되었다. 예외 없이 Manual에 8‘음역으로 배치한 역사적인 Baarpfeife와 반대로 Pedal에 16’로 때로는32‘음역에 배치하였다. 20세기 들어 Pedal음색으로 4’와 2‘음역의 Baarrpfeiefe를 배치하였다. 이 음색의 제작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2. 원통형 입술형파이프 음색

  의심할 여지없이 입술형파이프로 생각되는 Baerpijp가 1541년 Arnhem의 St. Eusebius를 위한 Johan Noster와의 오르간제작 계약서에 나타난다. 이 음색은 Doyff 8’와 Superoktav사이에 나타났고 Oktave 4’가 비어있기 때문에 Prinzipal의 Oktave에 대한 네덜란드식 표기인 Coppeldoef를 의미하였다. Baerpijp는 Oktave를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기에 이 음색은 열린식 원통형파이프 음색으로 밝은 소리를 내는 음색으로 보인다. 이후 Bairpijp 3’, Baerfluit 8’등 같은 표기의 음색이 드물게 나타나게 되고 16세기 말 이 음색은 사라지게 된다.

 

 

Basse acoustique(프), Akustikbass(독), Basso acustico(이), Acoustic Bass(영)

  Aristide Cavaillè-Coll과 그의 제자 Charles Mutin은 32’음역의 기본음(16 Hz)을 실제의 길이를 가진 파이프로 울리게 하지 않고 청자의 귀에 소위 합성음으로 들리게 하였다.

Basse acoustique 32’음색의 합성음은 청자의 귀에 진동의 왜곡을 통한 음향효과로 만들어진다. 이 음색은 1880년 프랑스 Lyon의 St. Francois de Sales의 오르간에 그리고 1908년 Guebwiller의 Notre Dame의 오르간에 있다. 독일에서는 Walcker에 의해 1929년 Berlin의 Kaiser-Gedächtniskirche 오르간에 Akustischer 32’로 배치되었다.

  Basse acoustique의 합성음은 청자의 내이(內耳. 고막의 속 부분으로 고막의 진동을 신경에 전하는 곳)내에서 음향학적인 진동의 왜곡(일그러짐)을 통하여 형성된다. 이 왜곡은 5도차이가 나는 두 개의 기본음(16‘ 와 10 2/3’)의 배음들이 내이에서 부분적으로 겹쳐 16‘의 기본음보다 한 옥타브 낮게(32’) 나는 소리로 인지하게 된다.

  16‘의 기본음의 높이는 32.5Hz이고 10 2/3’의 기본음의 높이는 49Hz이다. 이 음색이 동시에 울리면 16‘의 기본음 32.5Hz에 대한 첫 째 배음은 65Hz, 두 번째 배음은 97.5Hz, 세 번째 배음은 130Hz이고 10 2/3’의 기본음 49Hz에 대한 첫 째 배음은 98Hz이고 두 번째 배음은 147Hz이다. 이 16‘의 세 번째 배음인 130Hz와 10 2/3’의 두 번째 배음인 147Hz의 미세한 소리가 서로 겹쳐 그 차이 17Hz의 소리가 우리 귀에 인지되는데 이 17Hz는 32‘의 C음의 높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합성음색형성의 원리는 1754년 Giuseppe Tartini를 통하여 알려졌다. 19세기에 이르러 이러한 합성음색을 이용한 극저음 음역의 음색은 자주 배치된다.

 

 

Bassaliquote, Aliquuotebass

  Pedal음색으로 Aliquote는 대부분 Aliquotebass보다 Bassaliquote로 지칭한다. 이 음색은 특히 1950년대에서 60년대의 오르간에서 발견된다. Manual의 Aliquote음색과 반대로 8’음역의 부분음을 강조한다. Bassaliquote 3f는 5 1/3‘ + 3 1/5’ + 2 2/7‘파이프 열로 구성되어있다. Bassaliquote 4f는 여기에 2 2/3‘열이 추가된다. 이러한 4열의 Bassaliquote는 Berlin의 Karl Schuke사가 자신의 오르간에 자주 배치하였다. Johannes Klais는 1968-69년 Würzburger Dom의 주 오르간에 Bassaliquote 5f ( 5 1/3’ + 3 1/5‘ + 2 2/3’ + 2 2/7‘ + 1 7/9“)를 배치하였다. 모든 파이프열은 넓은 폭의 열린식 원통형 Prinzipal파이프로 만든다.

Bassethorn, Corno di bassetto I (입술형파이프 Bassethorn)

  Bassethorn음색은 1715-16년 Schmiedeberg에 나타났다. Johann Tobias Dressel은 Dreifaltigkeits교회의 오르간 Pdal에 주석으로 만든 Basset hörrnigen 2’를 배치하였다.   이 오르간은 전적으로 입술형파이프 음색들만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음색도 Gemshorn 종류의 입술형파이프 음색 인듯하다. 이 음색은 오케스트라악기 Bassethorn의 색깔을 모방한 것 같지 않다. 왜냐하면 이 악기는 1760년 이후 나타났기 때문이다. Lund의 Dom에 Per Zacharias Strand에 의해 제작된 오르간에 입술형파이프 음색 Bassethorn 8’이 배치되었다.

 

 

Bassethorn, Corno di bassetto II (떨판형파이프 Bassethorn)

1. 원통형울림통의 타격식떨판형 Bassethorn

  떨판형파이프의  Bassethorn의 첫 번째 음색은 1774년 Lohelius Oehlschlägel에 의해 Prag-Strahov의 Stiftkirche의 대형오르간에 나타난다. 이 음색에 대하여 더 이상 알려지지 않았지만 추측컨대 원통형울림통을 가진 음색이다.이태리에서는 19세기 초부터 Cornetto basseto 8’의 이름으로, 동시에 영국에서는 Corno bassetto 8’가 나타난다.

 

2. 깔대기형울림통의 관통식떨판형 Bassethorn

  Carl Kützing은 1836/1843년 Bassethorn이라는 이름을 관통식떨판의 깔대기형 울림통의 음색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관통식떨판의 깔대기형 울림통의 Bassethorn 8’를 E. F. Walcker는 1843-47년 Heilbronn의 Kilianskirche 오르간에 제작하였다.

 

3. 울림통이 없는 관통식떨판형 Bassethorn

  E. F. Walcker는1849-56년 Ulm의 Münster 오르간에 Bassethorn 8’를 Pedal에 제작하였다. 이 음색은 울림통이 없는 관통식떨판의 음색이다. 같은 종류의 음색을 Walcker는 Physharmonica, Sepent라는 이름으로 제작하였다.이 외에도 Bassethorn이라는 음색은 원통형울림통의 관통식떨판으로 혹은 원통형울림통의 타격식떨판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Bassett, Bassetto, Bassettel

  1700년부터 Franken(독일 Byern주의 지역)에서 입술형파이프의 Bassett를 Pedal음색으로 Subbass 16’과 Oktavbass 8’에 이어 유일한 4‘음역의 음색으로 배치하였다. Bassett라는 이름은 Pedal의 가장 높은 음역의 음색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1715년 Würzburger Dom의 Johann Hoffmann 오르간에 Bassett 2’가 Pedal에 배치되었다. 18세기에는 Franken의 영향으로 Mittelrhein(독일 Rheinland Pfalz주의 지역)의 오르간제작에 이 음색이 알려졌다. 19세기에 들어 이 음색은 매우 드물게 사용한다. 이 음색은 보통 나무로 제작한다.

 

 

Bassflöte

  Bassflöte라는 이름은 약 1700년 Bornich의 Johann Friedrich Macrander의 오르간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는 이 음색을 8’음역의 Manual음색으로 지칭하였다. 이후 북독일 Brandenburg, Preussen, Mecklenburg에 Pedal음색으로 나타난다. Joachim Wagner는 1735년 Königsberg/Neumark에 Bassflöte 4’를 제작하였다. 19세기에 비로서 이 음색은 Sachsen, Sachsen-Anhalt 그리고 Schlesin지역에 퍼지게 된다.

  Pedal음색인 Bassflöte는 Flötenbass와 제작방법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Bassflöte는 Pedal에서 단지 8‘음역으로만 배치하지만 Flötenbass는 4’, 8‘, 16’음역으로 배치한다. 이 음색은 막힌식으로 주로 나무로 제작한다. 20세기 초 Furtwängler & Hammer는 1899년 Lüneburgd의 Nicolei교회의 오르간에 열린식 Bassflöte를 나무로 제작하였다.

 

             

Bassoon

  1700년대 영국에서 처음으로 Bassoon 8’음색이 Manual에 나타났다(Adlington Hall/ Macclesfield,  제작자 미상). 의심할 여지없이 오르간 음색 이름의 기록에 의한 증명은 비로서 18세기 초에 알려진다.  이 음색은 영국에서 18세기 Rückpositiv 의 떨판형파이프음색으로 선호 되었다. 19세기에 이 음색은 Double Bassoon 16’로 배치된다. 19세기 후반 북아메리카의 제작자들은 이 음색을 받아들인다. 유럽대륙의 제작자들에게는 이 음색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듯하다. Adlington Hall오르간의 Bassoon은 떨판형파이프 음색으로 매우 좁은 깔대기모양의 울림통으로 만들었다. 

18세기에 Basson은  Rückpositiv에 규칙적으로 4' 프로스펙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Bass음역에서 울림통은 원래의 크기보다 짧았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떨판(reed)는 Trompete 보다 길고 좁았으며 가늘었다. 

 

Blockflöte (-floit, -fleut), Blockpfeife(-pfeiff, -pfeiffen), Plochflöte

1. 열린식 고깔형파이프 음색

   이 음색의 옛 증거는 북독일의 해안지역에서 유래하였다. Antonius Mors의 1555-56년에

제작한 Schweringer Dom의 오르간에 Blockflöte가 있었다. Jacob Scherer의 확장으로 1560-61년 Lübeck의 St. Marien 오르간에 Blockflöte 4’를 얻었다. 이 음색의 제작방식은 처음으로 Danzig  St. Marien의 대형오르간에 대한 Praetorius로부터 넘겨받은 음색배치에서 발견된다. 그 음색배치표에 그는 Spillpfeiff 혹은 Blockflöte 8’라는 음색을 표시했고 그의 설명에 의하면 이 음색은 고깔형의 몸통을 갖는다.  Blockflöte라는 음색이름은 18세기에 이르러 점차 사라져 1750년 이후는 완전히 사라졌다. 그러나 오르간복고운동으로 1925년 이후 Blockföte는 다시 돌아왔다. 이 음색은 열린식 고깔형몸통에 매우 넓은 폭으로 제작하였다.

 

2. 과취하는 막힌식 고깔형파이프 음색

  Praetorius는 고깔형 몸통의 Blockflöte에 대하여 변형된 막힌식 파이프에 과취하는 Blockföte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 고깔형몸통의 음색은 과취하는 Spitzgedackt를 가리킨다. 누가 언제 어디서 이 Blockföte를 이러한 모양으로 제작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3. 막힌식 입술형 평행몸통의 음색

  평행 몸통의 막힌식파이프의 Blockföte는 17세기의 보존된 오르간을 통하여 북독일에서 증명된다. Hamburg St. Jacobi의 Schnitger오르간에 원통형 막힌식파이프의 Blockföte 4‘를 갖고 있다. 20세기의 오르간복고운동으로 Blockföte는 Praetorius의 기술에 의하여 열린식 고깔형파이프로 제작한다. 드물게 8‘음역의 Blockföte는 막힌식으로 제작한다.

 

4. 넓은 폭의 원통형파이프 음색

  이 음색의 첫 번째 제작방법에 대한 언급은 Praetorius에 의해 제안된 Danzig의 St.Marien 을 위한 대형오르간의 음색배치에서 발견된다. 그 음색은 Spillpfeiff 혹은Blockflöte 8'로 표기되었다. Spillpfeife라는 이름은 고깔형파이프로 추론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Praetorius는 Blockflöte를 Spitzflöte의 아류로 Blockflötepfeife 2'를 상대적으로 넓은 스케일과 좁은 입을 가진 고깔형파이프 음색으로 기술하였다. 파이프는 위로 점차 좁아져 지름의 반 정도 되었다. 현존하는 고깔형 Blockflöte 고음부의 파이프는 약하게 고깔형으로 변화하게 제작한다. 반면 저음부는 파이프 입 부분 지름의 1/2 혹은 1/3정도로 몸통 끝을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입은 모두 매우 넓다. Blockflöte라는 음색이름은 18세기에 이르러 점차 줄어 1750년 이후 완전히 사라졌지만 오르간 복고운동의 시기 1925년 이후 Blockflöte라는 음색이름이 다시 돌아왔다.

 

Blockwerk

  Blockwerk의 개념은 1774년 Joachim Hess에 의해 St. Nicolaas in Utrecht의 오르간을 위한 음색배치에 나타난다. 그는 Blockwerk를 1477-79년 Peter Gerritsz로 돌아가 Prestant 16’, Octaaf 8’, Octaaf 4’, Octaaf 2’의 파이프열을 가진 음색봉이 없는 중간건의 파이프열을 표기하였다. 20세기 들어 Albert Ventre는 이 이름을 중세 대형오르간에서 분리되지 않은 Prinzipalplenum을 위한 표기로 알렸다. 중세 Blockwerk의 결합은 주로 Henri Amaut의 기록으로 알려졌다. Blockwerk는 기본음과 그의 Quinte(5도), Oktave(8도), Duodezime (12도) 그리고 Doppeloktave(15도)를 울리게 하는 파이프열들로 이루어져있다. 각 음역의 소리를 내는 파이프는 보통 적어도 2열로 구성되어있다. 대형 Blockwerk오르간에서 저음역의 Prinzipal을 토대로 고음열의 Quinte와 Oktave열이 더 많이 추가되었다. 그럼으로 고음부는 매우 강한 소리를 내었고 고음부의 열은 6-15열까지 증가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첫 번째 목적은 높은 고음들이 음정의 흐트러짐에 대한 방어인 듯 하다. 몇몇의 파이프들이 가름대틈에 낀 먼지로 인해 음정이 흐트러지더라도 여러 열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파이들이 고음에서 서로서로 영향을 주어 그 결과 음정이 틀어진 파이프들은 음정이 틀어지지 않은 파이프에 어느 정도까지 적응한다. Blockwerk는 원래 적어도 높은 열, 즉 건반의 진행과정에서 저음의 Oktave 아니면 Quinte의 반복된 파이프열은 15세기 말에 나타난다.

 Blockwerk의 기원은 10세기로 돌아간다. 이미 950년 영국 Winchester에 각각 10개의 구멍이 있는 40개의 음정슬라이드로 400개의 파이프를 갖는 오르간이 제작되었다. 많은 중세시대 오르간구성에서 양손으로 음정슬라이드의 조작(연주)에 의한 다성음악을 연주할 수 없었고 당시는 다성음악이 대세였기 때문에 Blockwerk는 각 주성부에 4도와 5도의 병진행을 자동으로 연주되어지는 악기로 발전 되어졌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다성음악의 주선율을  Vox prinzipalis로 표기하였다. 이 표기는 중세시대 Blockwerk의 저음의 파이프열로 이전하였고 후에 “Prinzipal”이라는 음색표기로 되었다. 14세기 다성음악이 오르간에 맡겨졌을 때 Blockwerk는 자동다성음악 자동반주기로서 의미를 잃었다. 14-15세기 Blockwerk의 저음부 Quint열은 저음부에서 제외되었다. 15세기 말 Prinzipalplenum에서 반복되는 고음열은 Mixtur로 발전하였다. Blockwerk는 네덜란드에서 16세기 중반까지 때때로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제작된 Prinzipalplenum은 1569-71년 Peter Jaszoon de Swart에 의해 Utrechter Dom에 세워졌는데 1640년 몇몇의 음색으로 분리되었다.

 

Bombarde

1. 타격식 떨판(beating reed, aufschlagende Zunge)음색

  열린식 깔대기형 울림통의 Bombarde라는 이름은 르네상스시대의 복황악기로 부터 유래 되었는데 이 악기는 Schalmei와 비슷하지만 Altor, Tenor 그리고 Bass 음역으로 제작하는 것이 Schalmei와 차이가 있 다. 이 악기는 프랑스에서 Bombarde, 이탈리아에서는 Bombardo 그리고 독일에서는 Pommer로 불린다. 오르간음색으로 Bombarde는 16세기 후반의 franco-flämisch오르 간제작자로 부터 기인하는듯하다.

  Antwerpen의 오르간제작자 Gilles Brebos는 1579-86년 Escorial의 오르간에 Bombarde라는 음색을 배치하였다. 1585년에는Jean Barbais가 Arras의 St. Vaast 오르간 Hauptwerk에 Bombarde 16'를 배치하였다. 1589년 Jan Langhedul에 의하여 Paris의 St. Eustache 오르간에 12‘ 길이의 Trompette를 배치하였는데 1690년 Alexandre Thierry에 의해 개조되면서 Bombarde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1618-34년에 St. Jan에 Hertogenbosch에 의해 세워진 대형오르간의 Pedal에 1718년 “Bombart of Groot Trompet 16'"음색을 얻었다. 17세기 초 이미 16'음역의 Trompette 음색이 사용되었다는 것과 그래서 18세기의 프랑스오르간에 이 음색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에서 이 두개의 음색이름을 추론할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이 음색이 17세기 후반기에 알려졌고 특별히 평가되지 않았다. Guillaume Ponchest가 1623년 Béziers의 St. Nazaire 성당에 제작한 Manual-Bombarde 16'를 1651년 제거하였다. 1679년 Paris의 St. Louis 오르간을 위한 Alexandre Thierry의 계약서에는 Manual에 Trompette 16' 이 계획되었지만 오르간구입 및 검수위원인 Nicolas Lebègue의 요구에 의하여 이 음색은 설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Alexandre Thierry는 1691년 Paris의 Notre-Dame 성당 오르간의 Pedal에 Bombarde 16'를 c부터 제작하였다. Andreas Silbermann은 1704-06년 Paris의 Francois Thierry에 오르간을 계속 제작할 때 아마 이 Pedal-Bombard를 알았을 것이다. 1710년부터 그는 Pedal음색으로의 Bombarde 16'를  linksrheinisch의 Oberrhein 지역에 도입하였다. 그 첫 번째가 1710-33년의 Basel 성당이다. Paris에서는 반대로 이 음색의 평가에 있어 돌연한 변화는 한 세대 후, 즉 Francois Thirry가 Bombarde 16'을 Manual음색으로 Paris의 St. Germaind des Prés에 1720년 , 1730-33년 Paris의 Notre-Dame 성당에 Manual 및 Pedal음색으로 설치한 후에 시작되었다. 두 대의 오르간에서 Thierry는 Manual-Bombarde는 새로운 방법으로 18세기 프랑스오르간을 위해 그리고 19세기 초 특색 있는 방법으로 소위 말하는Bombarden -manual에 배치하였다. Pedal의 32'음역으로 Bombarde는 1776-80년에 이르러 Francois-Henri가 Paris의 St. Sulpice에 제작한 오르간에서 발견된다. 그 음색은 24' 즉 F까지 실행되었다 (F부터 소리가 나도록 제작하였다)

  북독일 지역에서는 네덜란드의 제작자들에 의해 Bombarde가 이미 독일식 이름인 Pommer로 제작된듯하다. Heinrich Glovatz가 1590-93년 Rostock의 St. Marien에 제작한 오르간의 Rückpositiv에 Pommer 8'라는 음색이 입증되었다. 북 독일에서 Bombarde나 Pommer라는 이름은 널리 퍼지지 않았다. 17세기 말경 Bombarde라는 명칭이 중부독일과 Schlesien의 Zacharias Thayssner와 Eugen Casparini에 의해 나타났다. Thayssner는 1693-94년 Leipzig Nicolaikirche와 1695-1705년 Naumburg St. Wenzel의 오르간 Rückpositiv에 Bombarde 8'를 배치하였다. Andreas Silbermann에 의하면 Leipzig의 오르간에 있는 Bombarde는 고음부는 Cromhorn, 그리고 저음부는 Cromhorn과 Trompette 중간의 소리를 낸다고 증언한다. Eugen Casparini는 1697-1703년 Görlitz에 Bombarde 16'를 Hauptwerk에 배치하였다. Casparini는 아마 네덜란드 오르간제작에 친밀한 듯하다. Manual음색으로의 Bombarde는 1900년경 까지 독일에서 일부 프랑스 오르간제작과 접한 일부분의 오르간제작자에 의해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Jacob Courtain의 Oldenburg St. Lamberti(1792-97)오르간과 Osnabrück St. Marien(1793-97) 오르간, Georg Stahlhuth의 Mönchengladbach St. Maria Himmelfahrt(1856)오르간과 Achen Kurhausaal(1876)오르간 그리고 Wilhelm Sauer의 Hamburg-Altona St. Johannis (1871-73)오르간과 Fulda Dom(1876-77)오르간등이다. Bombarde가 Manual음색으로 가장 널리 전파된 때는 소위 엘자스의 오르간복고운동(elsässischen Orgelreform)이후인 1900년대이다.

  이와 반대로 Pedal음색으로 Bombarde는 18세기부터 남서 독일지역에서 널리 제작되었다. 이태리에서 Manaul음색으로 또한 Pedal음색으로의 Bombarde는 프랑스 오르간제작의 여행을 통하여 알려진 Azzolino Bernardino della Ciaja에 의하여 알려졌다. 그의 지도아래 1733-38년 많은 오르간제작자와 공동 작업으로 Pisa의 St. Stefano dei Calvalieri에 Manual과 Pedal에 각각 Bombarde를 가지고 있는 기념비적인 오르간을 제작하였다. 이어 이태리에 점차 Bombarde음색이 제작되었다.

  영국에서 Bombarde는 1851년 London의 산업박람회에 Ducroquet오르간제작사가 제작 출품한 오르간을 통하여 알려졌다. 이후 Bombarde는 Pedal음색으로 영국에서 제작되었다. 첫 번째 예는 Gray & Davison에 의한 London-Limehouse St. Anne's오르간이다. Bombarde 32'는 영어식 이름의 관습에 의하여 Contra Bombarde라는 이름을 얻었다. Contra Bombarde 32'는 1857년 Gray & Davison가 제작한 London Crystal Palace오르간에서 만날 수 있다. 등가의 프랑스식 이름은 Aristide Cavaillé-Coll이 1860년 Paris의 Notre- Dame오르간을 위한 제안서에 처음으로 Contre-Bombarde 32'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영어식 전문어휘집에 기인한듯하다. 1870년대부터 Bombarde라는 이름은 미국에서도 사용되었다. 프랑스에서 Bombarde 16'는 주석의 울림통을 가지고 Hauptwerk의 Trompete 8'와 같은 스케일(가끔 저음역은 약간 넓게 고음역은 약간 좁게)을 가진 Manual음색으로 제작되었다. Elsass의 Silbermann가는 Pedal-Bombarde를 일반적으로 울림통을 나무로 제작하였고 대형오르간에는 주석의 울림통을 사용하였다. 나무울림통은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2. 관통식 떨판(free reed, durchschlagende Zunge)음색

19세기 중반부터 독일에는 관통식 떨판을 가진 Bombarde가 제작되었다(1840년 Johann Friedrich Schulze의 Wismar St. Marien오르간). 영국과 미국에서는 타격식 떨판의 Pedal-Bombarde가 있었다. Gray & Davison사는 1859년 Leed의 Town Hall에 그리고Hook & Hastings사는 1877년 Cincinnati의 Music Hall에 Contra-Bombarde 32'를 제작하였다. 19세기 말경에 관통식 떨판음색은 점차 거부되었고 타격식 떨판의 제작법이 선호되었다.

 

3. 타격식 떨판음색, 짧은 막힌식 울림통

이 음색은 Sordun과 같이 좁은 원통형의 스트로우를 가진 짧은 울림통의 떨판형파이프 음색이다. 좁은 원통형 스트로우 위로 매우 넓고 끝이 막힌 원통이 씌어져있다. 소리의 방출은 울림통 아랫부분의 구멍을 통하여 일어난다. Praetorius에 의해 전해진 음색배치에는 Bombart라는 이름이 단지 한번 언급되었다. Esaias Companius가 1615-17년에 Bückeburg의 Stadtkirche를 위해 제작한 오르간에는 Posaun oder BombardB. 16'라는 이름이 있다. 1657년 이 음색은 Ludwig Compenius가 Weimar의 Schlosskirche를 위해 제작한 오르간에서 "gedempter großer Bosaunen Baß auf Bombartart 16'“(Bombarde류의 약화된 Posaune Baß 16')이라는 이름으로 만나게 된다. 위의 두 경우 Posaune라는 표기는 오히려 깔대기모양의 울림통을 가진 음색을 생각나게 한다. Praetorius의 Pombarda에 대한 언급은 슐레진(북독일 Oder강 중,상류지역. 2차 대전 후 폴란드관할)이나 폴란드 오르간과 연관지을 수 있다. 이 지역의 오르간은 17세기에 떨판형음색인 Pommort, Pommert, Bommert 혹은 Bombart 16'를 Pedal에 자주 배치하였다. Krakau의 Hans Hummel은 1615년 Leutschau(Slowakien) St.Jacobi오르간의 Pedal에 Pommort 16'를 제작하였다. Krakau St. Marien 오르간엔 1638년 Pomort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아마 1618년 Hans Hummel에 의해 제작된것이다. Szymon Lelia는 1626년 Lemberg Corpus Christi-Kirche오르간의 Pedal에 Pomorth를 배치하였다. 슐레진 지역에서 이 음색은 1652-57년 Christianus Crellius에 의해 Breslau St. Elisabeth에 Pommert 16'라는 이름으로 제작하였다. 이 지역에서 떨판형 음색 Pommert는 18세기말 까지 제작되었다.

 

Bordun, Bourdon, Bordone

1. Prinzipal의 저음파이프 음색

Bordun이라는 단어는 오르간제작에서 우선 13세기의 문헌(Vie de St. Albin)에서 찾을 수 있다(Burdones sunt calami majores organorum : Bordunen는 오르간에서 가장 큰 파이프들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Bordun은 Rouen성당의 오르간과 관련된 1318년의 문헌에 사용되어졌다. 그 문헌에 Bordun은 "Blockwerk의 커다란 파이프들" 이라고 표기되어있다. 같은 의미로 쓰인 이 단어를 15-16세기의 네덜란드의 문헌에서 발견된다(Brügge. St. Donaas 1445, Bergen op Zoom St. Geertrui 1485). 1440년 Henri Amaut의 악기제작논문에 의하면 Organ이나 Clavichord의 건반은 세부분의 옥타브범위로 나뉘었다. 즉 "barduni"(낮은 옥타브), "naturales" 그리고 "supernaturales"로 나뉘었다. 중세의 그림이나 현존하는 오르간케이스나 바람공급대(wind-chest, Windlade)가 나타내듯이 커다란 파이프들은 바람공급대의 좌우 끝에 프로스펙트의 탑(tower, Turm)내에 세워졌다.

  이러한 긴 파이프를 번역한 프랑스 단어 "bourdon"는 “순례자의 지팡이”, “마상시합용 창”, “콩 넝쿨이 감기도록 콩 줄기에 대는 막대기”라는 의미를 갖으며 갈리아지방의 로만어 “borda(=곤봉, 막대기, 지팡이)”에서 왔다. Portativ와 Dudelsack의 Bordun파이프들에 대한 단어의 번역은 명백히 시각적인 유사점에 근거하여 일어났다. 이 번역을 통하여 Bourdon이라는 단어는 프랑스에서는 낮고 지속적이고 웅웅거리는 음악적인 의미를 얻었다. 이는 13세기 후반부터 입증된다. 영국에서 Burden이라는 개념은 13세기 후반 다성음악주제의 저음부의 이름으로 되었다.

  15세기 초 이래로 자신의 건반에 의해 연주하는 Rückpositiv와 Oberpositiv를 가진 대형오르간이 빈번히 설치되었다. 이 Positivplenum(포지티브총주)의 저음역에서 Cantus firmus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네덜란드에서는 주 건반 Blockwerk의 큰 파이프열(저음파이프) Bordunen을 Pedal 바람공급대내의 분리된 분배칸과 음정밸브를 통하여 연주가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때론 이 Bordun파이프들을 옥타브열과 함께 소리가 나도록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오르간의 잔해들은 현존하고 있다(Unrecht St. Nicolaas, Middelburg Koorkerk). Pedal은 추가적으로 Hauptmanual에서 연결할 수 있어 Pedal은 Bass성부로서 Hauptwerkplenum로, Bass-Cantus firmus로서 Positiv로 이용하게 했다. Oktave의 범위내의 이러한 Pedal은 1586년 플랑드로의 오르간제작자 Jehan Languedueil에 의해 기술되어졌고 제작되었다. 한편 Pedal은 Positiv의 음색이 한 옥타브 밑으로 확장하는데 필요한 파이프들이 추가되었다.

 

2. 막힌식 파이프의 Bourdun

  아마 막힌식 Bourdon의 초기의 명명은 1505년의 Daniel van der Distelen과 맺은 Antwerpen(벨기에의 도시)의 계약서에서 발견된다. Brustpositiv에 설치된 Stillenbass 4' 에 Bourdonen은 12건반을 위해 더해져야했다. Brustwerk(높이가 낮은 협소한 공간의 Werk)내에 파이프의 배치와 낮설고 새로운 특징 그리고 고요한 소리에 의해 이 파이프들은 막힌식 이라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 12음이 Pedal에서 혹은 Manual에서 혹은 양 건반에서 연주가 가능했어야 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Bass쪽으로 한 옥타브를 연장하기 위하여 Bourdonen은 분명히 Manual음색의 연속으로 표현되었다. 1527년 Diest St. Sulpitius의 오르간에서 Bourdon이라는 음색은 막힌식파이프의 Bass로서 만나게 된다. 이미 1530년 Abtei Averbode와 Antonius Janszoon Toers 사이의 오르간건립계약서에 Bourdon은 전건반으로 확대되었다(Bardoenen luyende op 12' ten eynde uyt = Bourdon 12'는 건반의 마지막까지). 당시의 계약서에는 보통 음색을 표시하고 주어진 피트수는 실제의 길이에 벗어난다. 그럼으로 이는 막힌식의 제작방법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이 음색의 Bass 부분은 Transmission을 통하여 Pedal에서 연주할 수 있었다. 이후 네덜란드에서 Principalplenum으로의 가장 낮은 열린식 혹은 막힌신 음색을 Bourdon이라고 하였다. 반면 Holpijp라는 개념은 보통 Principalplenum에 이용하지 않는 막힌식 음색을 표기하였다. 18세기부터 관찰된 것을 보면 네덜란드어 및 독일어권에서는 Bourdon/Bordun이라는 개념은 오직 막힌식 파이프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열린식 16‘열과 연관된 Bourdon이라는 표기는 17세기 단지 옛 오르간을 재건축한 Blockwerk오르간에서 만나게 된다(Utrecht St. Jacob 1609, Haarlem St. Bavo 1630, Amersfoort St. Joris 1634, Untrechter Dom 1640)오르간의 적대적인 칼빈주의로의 전향, 우상파괴와 더불어 오르간의 철거, 스페인과의 해방전쟁의 시작으로 인해 많은 네덜란드 오르간제작자들의 이주와 더불어 막힌식 Bourdon은 16세기 후반부에 네덜란드와 벨기에 외에 다른 지역에 알려졌다. 프랑스에서 이 음색은 대략 1560년 이후 관찰된다. 독일에서 이 음색은 먼저 Westfalen과 Friesland에서 만나게 된다(Münster St. Lamberti, 1573년 Arend Lampeler van Mill제작), 이 음색은 계속해서 북부지역에 나타난다. 17세기에 Rheinland와 덴마크지역에서 발견된다. 중부독일과 Böhmen에는 17세기 말에 이전되었다. Franken과 남서독지방 그리고 스위스에서 이 음색은 18세기 초부터 만나게 된다. Byern지역은 1750년 이후에야 이 음색이 알려졌다. 이탈리아에서 Bordone 라는 이름은 19세기 초 이래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영국에서 막힌식 Bourdon은 1840년에 처음으로 발견된다. 후에 미국에서 이 음색을 사용하게 된다. Bourdon/Bordun이라는 이름은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많지 않은 음색표기 중 하나에 속한다.

 

3. 열린식 파이프의 Bourdun

  위에 언급한 것 같이 16세기가 지나면서 네덜란드에서는 Bourdon이라는 개념은 프로스펙트탑 내의 가장 큰 저음파이프를 표시하는 것에서 Principalplenum의 가장 낮은 열을 가리키는 것으로 변하였다. 이 파이프는 열린식 혹은 막힌식일 수 있다(Haarlem의 St. Bavo 오르간, Amersfoort의 St. Joris(1634년)오르간). 중세의 Blockwerk의 가장 낮은 열린식 파이프열을 Bordon 20', Bourdon 16'라고 명명하였다. 네덜란드 오르간제작자들은 이러한 명칭의 사용을 외국으로 전하였다. 그 결과 Antwerpener의 오르간제작자 Antonius Mors는 Schwerin의 Dom오르간(1555)의 Prospektprincipal을 “große Baßpfeiffen 8'로 표기하였고 Merten Friese는 Danzig St. Johann오르간(1625년)의 Prospektprincipal을 "Bordun 16'로 표기하였다. 1579년 Hans Eisenhofer는 Wiener Neustadt의 Dom 오르간의 Pedal에 Portuna라는 음색을 배치하였다. Andreas Putz는 1617년 Maria Saal에 "großen Portunen"을 제작하였다. 1556년 Jonas Scherer에 의해 제작된 Klosterneuburg 수도원 오르간의 Pedalprincipal을 Paul Peuerl는 1629년 "Principal-Portun"으로 표기하였다. Johann Wöckherl는 1641년 Wien의 Franziskan 교회 오르간의 Pedal에 Portuna 16'라는 이름의 Holzprincipal을 제작하였다. Bordun이나 Portun으로서 Pedalprincipal이라는 명명은 오스트리아에 의해 17-18세기에 바이에른과 합스부르크지역으로 이미 퍼져나갔다. 이를 통하여 이 명명은 1697년 Görlitz St. Peter & Paul의 오르간설치를 위한 Eugen Casparini 의 계약서에서 만나게 된다. 열린식 Portuna는 결코 Pedal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1700년대 이래로 Manual음색으로 Principal을 대용하거나 보강할 수 있는 나무로 된 열린식 8'음역의 음색을 Portun으로 표기하였다.

 

 

Bordunflöte

1. 막힌식파이프 Bordunflöte

​  Bordunflöte라는 표기는 18세기 초 쉴레진에서 나타났다. 초창기 이 음색의 예는 1724-30년 Brieg의 St. Nikolai에 Michael Englers의 Bourdon Flaut 16'와 1732-36년 Schlesien의 Mariengnade Kloster-kirche 오르간의 Bordunflöte이다.  Bordunflöte라는 이름은 Manual에 배치하는 나무로 만든 막힌식 16'음역의 음색을 가리키며 Boudun 16'와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 19세기들어 Schlesien 지역에서는 더 이상 Manual에 배치하는 막힌식 16'음색을 Bordunflöte라 표기하지 않았고 때때로 Habsburger지역에서 나타난다.

2. 열린식파이프 Bordunflöte

  Roggensburg-Schlesien의 Wallfahrtkirche의 오르간에 Augustin Simnacher는 1731년 Portun fletten 8'를  나무로 제작하였다. 이 음색은 막힌식 Copl 8'옆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의심할 여지없이 열린식 파이프였으며 아마도 현존하는  Portun과 동일한 음색인듯하다. POrtun은 Anton Simnacher가 1723년 Steingaden-Ilgen에 제작하였고 상대적으로 좁은 열린식 나무파이프였다. 이러한 타입의  Bordunflöte는 Habsburger의 통지지역에서 발견된다. 19세기에 들어 열린식 나무파이프의 Bordunflöte 8'는 Habsburger지역에서 흔히 오르간에 배치되었다. 

bottom of page